과학과 기술의 역사
-
17세기부터 시작된 화성으로의 꿈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3. 24. 19:44
화성 식민지에 대한 인류의 꿈은 단순한 SF적 환상이 아니라, 17세기 망원경 발명으로부터 시작된 오랜 과학적 탐구와 상상력이 결합된 결과다. 갈릴레이가 자신의 망원경으로 처음 화성을 관측한 이래, 천문학은 폭발적으로 발전했고, 19세기 후반에는 '운하(canals)' 발견으로 인해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가설이 대중에게 퍼지며 큰 흥미를 불러일으켰다.이후 20세기를 거치면서 다양한 작가들이 화성 식민지 이야기를 구체화했고, 21세기에 들어서는 스페이스X나 NASA 같은 민간 및 공공 기관이 실제 계획을 세울 만큼 화성 이주는 과학적으로 가까워졌다. 화성 대기는 희박하며 온도 변화와 방사선 문제가 만만치 않지만, 인간이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행성에 거주지를 건설하고자 하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이..
-
방사능을 연구하다 죽음을 맞은 과학자들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3. 4. 16:56
과학자들은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고 연구하며 인류 문명을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독성이 강한 물질과 방사능 원소를 다루다가 자신의 생명을 잃거나 치명적인 건강 문제를 겪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는 방사능과 화학 독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무방비 상태로 실험을 진행한 과학자들이 많았다. 이번 글에서는 위험한 원소를 연구하다가 목숨을 잃거나 심각한 영향을 받은 과학자들과 그 원소들에 대해 알아본다. 마리 퀴리와 라듐의 비극방사능을 처음 발견하고 연구한 과학자로 알려진 마리 퀴리는 방사성 원소 라듐과 폴로늄을 발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지만, 방사능에 대한 무지로 인해 결국 백혈병에 걸려 사망했다. 라듐(Ra)의 치명적 영향마리 퀴리는 라듐의 신비로운 빛과 강력한 에너지에 매료..
-
전장의 어둠을 밝히는 나이트 비전 : 야간투시경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1. 29. 19:58
나이트 비전, 곧 야간 투시경은 밤을 대낮처럼 바꾸며 전술의 판도를 바꾼 핵심 기술이다.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독일군이 초보적인 형태의 야간 시인 장비를 실전에 투입한 것을 시작으로, 미국 등 강대국들은 야간 전투 능력 강화를 위해 경쟁적으로 연구와 투자를 진행했다. 그 결과 나이트 비전은 과거 제한된 시야를 극복하고, 오늘날 특수부대와 일반 보병 할 것 없이 폭넓게 활용되어 전투 전략에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명령 전송부터 신속한 침투와 정밀 타격까지, 야간 작전이 전장의 기준으로 자리 잡는 데 야간 투시경의 발전이 크게 기여했다. 이제는 기존의 나이트 비전에서 발전한 열상 장비와 혼합형 시스템까지 보급되면서, 전투원들은 어느 때보다 안정적으로 야간의 위협에 대응한다. 그 흥미로운 역사적 배경과, 현대전..
-
딥시크 중국 AI 도약, 서구 모델에 도전한다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1. 26. 10:05
중국과 서구의 AI 접근 방식은 기술 발전과 경쟁력 확보에 중대한 함의를 지닌다. 중국의 딥시크(DeepSeek)가 2025년 1월 발표한 오픈소스 모델 'DeepSeek-R1'은 서구 대형 모델을 추격하거나 능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존에는 미국이나 유럽 AI 기업들이 더 강력한 칩과 대규모 자본을 활용해 모델을 혁신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 기업이 칩 확보와 장기 훈련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오히려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효율적 자원 활용에 집중한 새로운 경쟁 전략이 부각되고 있다. 딥시크는 이 틈새를 파고들어 한정된 리소스를 극대화하는 고유한 모델 구조를 개발하고, 이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이러한 행보는 중국-서구 간 기술 냉전이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
통합형 AI가 바꾸는 스마트폰의 미래, 갤럭시 S25 출시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1. 24. 18:47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휴대폰 제조사들도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다. 이번 삼성전자의 최신작 ‘갤럭시 S25 시리즈’는 통합형 AI 플랫폼인 ‘원 유아이(One UI) 7’을 선보이며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에 혁신을 일으킨다. 유튜브 영상 요약을 자동으로 작성해 메모장으로 옮겨주는 기능부터,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해 똑똑하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스마트폰은 혁신적인 AI 기능 외에도 업그레이드된 카메라, 디자인, 성능을 한층 더 개선해 일상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방식 자체를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AI가 실질적으로 사용자 환경에 깊숙이 스며드는 현 시대에, 갤럭시 S25 시리즈를 통해 ‘AI와 접목된 휴대폰’이 어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혁신적 AI 플랫폼의 등장원 유아이..
-
MIRV와 극초음속, 새로운 핵위협의 실체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1. 16. 17:13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은 2차 세계대전 후 급속히 발전했다. 독일의 V-2 로켓 기술이 연합국에 흡수되며 미국과 소련이 경쟁적으로 장거리 로켓을 연구했다. 이 기술은 원래 우주 탐사나 대기권 연구 등의 평화적 목적도 염두에 뒀지만, 세계가 양극 체제로 고착되면서 군사적 용도로 빠르게 변용됐다. ICBM의 기원과 초창기 개발각 국은 상대방을 경계하며 ICBM 개발에 막대한 자원을 투자했고,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사활을 걸었다. 초기에는 아직 실험 단계였으나, 1957년 소련이 ‘R-7 세묘르카’를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하며 전 세계가 깜짝 놀랐다. 이 역사적 사건은 미사일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동시에 미·소 간 기술 경쟁에 불을 지폈다. 비록 개발 초기에는 유도 기술과 추진체 성능이 제한적이었으..
-
냉전의 게임 체인저: USS 노틸러스 핵잠수함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1. 14. 12:45
1954년 1월 14일, 세계는 새로운 해군 시대를 맞이했다. 미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핵잠수함 USS 노틸러스가 진수된 것이다. 기존 디젤 전동식 잠수함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을 자랑한 노틸러스는 무제한 잠수 능력을 제공하며 해군 전략에 혁명적 변화를 일으켰다. 이 획기적인 기술적 도전은 과학적, 군사적 혁신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핵잠수함 개발의 시작: 군사 전략의 전환점USS 노틸러스의 탄생은 단순히 새로운 함선을 만드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냉전이 본격화되던 시기, 소련과의 경쟁 속에서 미국은 바다에서도 절대적인 우위를 점해야 했다. 디젤 전동식 잠수함은 성능이 제한적이었다. 한 번 잠수하면 배터리가 고갈되기 전까지 수면으로 올라가야 했고, 이는 잠수함의 은밀성을 크게 떨어뜨렸다. 핵잠수함..
-
네온 간판의 시작, 로스앤젤레스의 밤과학과 기술의 역사 2025. 1. 12. 17:40
1915년 1월 12일, 로스앤젤레스에 설치된 세계 최초의 네온 광고는 당시 사람들에게 충격과 감탄을 동시에 안겨줬다. 프랑스 발명가 조르주 클로드가 개발한 네온 조명은 이후 도시의 풍경을 완전히 바꿔놓았고, 광고 산업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네온 조명의 탄생과 세계 최초의 네온 광고조르주 클로드와 네온 조명의 발명네온 간판을 탄생시킨 배경에는 프랑스 발명가 조르주 클로드의 중요한 연구가 자리 잡고 있었다. 네온 자체는 1898년 영국의 화학자 윌리엄 램지와 모리스 트래버스가 기체 형태로 발견했으며, 지구 대기 중 극소량 존재하는 희소 기체였다. 초기 연구는 네온을 다양한 물질에 전기 방전을 적용해 연구하는 과학적 실험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조르주 클로드는 이 연구를 발전시켜 네온 기체가 전기 방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