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침체 - 2008년 세계 경제 위기경제에 투영된 역사 2023. 4. 6. 23:40
대침체 :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와 금융 규제 완화
대침체로 알려진 2008년의 경제 위기는 미국 주택 거품과 그에 따른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금융 기관의 느슨한 대출 기준,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복잡한 금융 상품으로의 증권화, 금융 산업의 규제 완화 등이 모두 위기의 원인이었습니다. 2006년과 2007년에 주택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모기지 채무 불이행이 증가했고, 2008년 9월 리먼 브러더스와 같은 주요 금융 기관이 붕괴되었습니다.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은 세계 금융 위기와 대침체의 시작을 알렸고, 이는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실업률이 증가
대침체로 인해 특히 건설, 제조, 금융 등의 산업에서 대규모 실직사태가 일어났습니다. 2009년 10월 미국의 실업률은 10%로 정점을 찍었으며, 1,5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실직했습니다. 경기 침체는 저숙련 및 저소득 근로자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은 더 높은 실직 위험과 더 긴 실업 기간에 놓이게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자동차 산업도 큰 타격을 입어 제너럴 모터스와 크라이슬러와 같은 기업들이 미국 정부의 구제금융을 받기 전에 파산에 직면했습니다. 이러한 실업률 증가는 기간동안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개인, 가족, 지역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미국 사회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 경기회복 및 재투자법 및 TARP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정부는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2009년 2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경기회복 및 재투자법(ARRA)에 서명했습니다. 7,870억 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책은 일자리 창출, 투자 촉진, 인프라 개선을 목표로 했습니다. ARRA는 인프라 프로젝트, 재생 에너지 이니셔티브, 개인과 기업을 위한 세금 감면 등을 위한 자금을 제공했으며, 실업 수당을 확대하고 교육, 의료 및 사회 안전망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을 늘렸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 TARP(Troubled Asset Relief Program)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 정부가 부실 자산을 매입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에 자본을 투입하는 데 최대 7,000억 달러를 지출할 수 있도록 승인했습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은행 구제 금융
TARP와 같은 은행 구제 금융은 무모한 행동을 한 금융 기관을 구제하는 도덕적 해이(moral hazard)에 대한 열띤 논쟁을 불러 일으킨 논란의 여지가 있는 조치였습니다. 비판론자들은 TARP가 향후 금융 기관의 무모한 행동을 조장한다고 주장한 반면, 지지자들은 금융 시스템의 완전한 붕괴를 막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프로그램의 규모, 운영의 투명성, 참여 기관에 부과된 조건을 포함한 TARP의 시행은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금융 개혁과 정책 변화의 역할
세계 경제는 결국 노력 끝에 대침체에서 회복되었지만 그 과정은 느리고 평탄치 않았습니다. 위기의 여파로 규제 당국은 미국의 도드-프랭크 월스트리트 개혁(Dodd-Frank Wall Street Reform) 및 소비자 보호법, 국제적으로 바젤 III (Basel III) 협약과 같은 중대한 금융 개혁을 도입했습니다. 이러한 개혁은 투명성을 높이고, 시스템 리스크를 줄이며, 소비자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정책 입안자들은 보다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을 촉진하고, 소득 불평등을 해소하며, 경제 성장의 혜택이 더 널리 공유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전환했습니다.
역사적 맥락: 대공황과의 비교
두 경제위기 모두 심각한 경기 침체와 광범위한 실업률, 정부의 대대적인 개입으로 특징지어지기 때문에 대침체는 1930년대의 대공황과 비교됩니다. 그러나 두 사건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대공황은 더 장기적이고 더 깊은 경제 위축이 특징인 반면, 2008년 대침체는 상대적으로 더 짧고 덜 심각했습니다. 또한 대공황 당시의 수축적 통화 정책과 보호무역 조치와 같은 정책 대응은 대침체 기간 동안 시행된 경기 부양책과 금융 개혁에 비해 위기 해결에 효과가 떨어졌다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경제학자와 금융 전문가의 역할: 경고와 뒤늦은 판단
여러 경제학자와 금융 전문가들은 대침체 이전에 주택 거품,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과 관련된 위험과 금융 위기 가능성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이러한 전문가 중에는 2006년에 이미 심각한 금융 위기와 경기 침체를 예측한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와 주택 버블의 위험성을 강조한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경고는 정책 입안자와 시장 참여자들에 의해 대부분 무시되거나 묵살되었습니다. 돌이켜보면 대침체에서 얻은 교훈으로 인해 시스템적 위험, 금융 안정성, 신중한 규제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대침체에 관한 영향력 있는 서적 및 자료
여러 서적과 칼럼에서 대침체와 그 여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했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를 예견하고 주택 시장에 베팅한 투자자 그룹의 이야기를 다룬 마이클 루이스(Michael Lewis)의 '빅 쇼트(The Big Short)', 리먼 브러더스 붕괴와 위기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다룬 앤드류 로스 소킨(Andrew Ross Sorkin)의 '실패하기에는 너무 큰(Too Big to Fail)', 금융 위기와 그 여파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제공하는 카르멘 라인하트(Carmen Reinhart)와 케네스 로고프(Kenneth Rogoff)의 '이번에는 다르다(This Time is Different)'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입습니다. 이 책들은 대침체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과 향후 경제 정책에 대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대침체시기가 사회와 경제 전반에 미친 영향
이 위기는 금융 시스템 내에 뿌리 깊은 불평등과 취약성을 드러냈고, 향후 위기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규제 개혁과 정책 변화를 촉발했습니다. 또한 대침체 시기는 소득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는 데 새로운 초점을 맞추게 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공황의 여파는 오늘날에도 노동시장 결과, 경제적 불평등, 높은 공공부채의 지속적 영향 등의 측면에서 계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위기를 초래한 사건, 행위자, 정책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위기를 예방하고 보다 탄력적이고 포용적인 글로벌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 해야하며, 대침체에서 계속 배우면서 금융 규제를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며, 이 어려운 시기에 전면에 부각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에 경계를 늦추지 않는 것이 중요 할 것 입니다.
'경제에 투영된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중해의 펼쳐진 카르타고의 네트워크 (0) 2023.04.12 함무라비의 태피스트리: 고대 바빌론 법전이 사회와 경제에 미친 영향 (0) 2023.04.11 벤처 캐피탈의 기원 - ARDC부터 실리콘 밸리의 성공까지 (0) 2023.04.09 유로존 위기 - 경제 협력과 금융 규제의 필요성 이해 (1) 2023.04.07 열강의 아프리카 쟁탈전 (0) 2023.04.05 홀로코스트 - 인권과 문화 변화의 촉매제 (0) 2023.04.04 이데올로기의 전쟁 - 스페인 내전 (0) 2023.04.03 파리 기후 협정: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우는 전환점 (0) 202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