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망의 시기 대공황과 회복의 향기 뉴딜경제에 투영된 역사 2023. 3. 8. 23:19
대공황과 뉴딜 정책은 미국의 경제, 정치 및 사회 구조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던 미국 역사의 결정적인 시기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공황과 뉴딜 정책의 역사적 사건과 인물, 관련 저서 및 대공황과 뉴딜정책의 현대사회에 미친 경제적 의미를 얘기해 보겠습니다.
워싱턴 루즈벨트 기념관의 예술품 사진: Unsplash 의 Sonder Quest 대공황의 시작
대공황은 1929년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미국의 경제 침체기였습니다. 미국 역사상 최악의 경제 위기였으며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1929년의 주식 시장 폭락이 대공황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요인이 위기에 원이 이 되었습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과잉 생산과 과소 소비였습니다. 1920년대에 많은 미국인들이 외상으로 상품을 구매했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증가했지만 부채 또한 대폭 증가했습니다. 10년이 지나면서 소비자 수요는 한계에 도달했고 제조업체는 판매할 수 없는 과잉 재고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는 생산량 감소와 실업률의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빈곤의 쓰라림을 맛보다
대공황의 심각성에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은행의 부실이었습니다. 위기에 이르기까지 수년 동안 은행은 투자자와 투기꾼에게 위험성 높은 대출상품을 판매했으며, 그 수익으로 주식 매입에 사용했습니다. 주식 시장이 폭락하자 많은 투자자들이 돈을 잃었고, 은행은 회수할 수 없는 부실 대출을 대량으로 떠안게 되어, 은행이 줄줄이 파산하면서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이 더욱 줄어들었고 기업과 개인은 신용을 얻기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실업률이 증가하고 기업이 문을 닫으면서 많은 미국인들의 수입원이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일부는 정부 지원에 의존했고, 다른 일부는 민간 자선 단체에 의존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위기의 규모를 해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결국 많은 사람들이 빈곤층으로 전락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Franklin D. Roosevelt)대통령은 구호, 복구 및 개혁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프로그램인 뉴딜정책을 도입했습니다.
진보와 회복의 향기: 뉴딜이 미국 산업을 재편한 방법
1933년 시작된 뉴딜 정책 1단계는 즉각적인 구호 조치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 중 하나는 청년들에게 환경 보전 및 토지 관리 프로젝트에서 일자리를 제공하는 CCC(Civilian Conservation Corps)였습니다. CCC는 설립 기간 동안 250만 명 이상의 남성을 고용했으며 도움이 필요한 가족을 구호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또 다른 주요 프로그램은 WPA(Works Progress Administration)로, 도로, 교량 및 공공건물과 같은 공공사업 프로젝트에서 수백만 명의 실업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였습니다.
1935년에 시작된 뉴딜 정책 2단계는 보다 장기적인 개혁에 초점을 맞춰졌습니다. 가장 중요했던 정책은 노령연금과 실업보험 제도를 확립한 사회보장법의 시작이었습니다. 와그너 법 (Wagner Act)라고도 알려진 전국 노동관계법(National Labour Relations Act)은 근로자에게 노조를 결성하고 고용주와 단체로 교섭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습니다. 또한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설립은 회원 은행의 예금을 보장함으로써 은행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뉴딜정책은 수백만 명의 미국인을 구제하고 장기적인 개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성공했지만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정책이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여전히 논쟁거리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일부는 뉴딜 정책이 경제를 안정시키고 더 이상의 붕괴를 막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뉴딜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으며 궁극적으로 미국을 대공황에서 구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럼에도 뉴딜정책은 미국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으로 남아 있으며 위기 상황에서 국민에게 구호와 지원을 제공하는 정부의 역할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사회와 정부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준 작품들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Dust Bowl)"는 미국 문학의 걸작이자 대공황 시대의 중요한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소설은 더 나은 삶을 찾아 캘리포니아로 이주해야 했던 오클라호마 출신의 농부인 조드(Joad)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등장인물들의 투쟁과 고난에 대한 스타인벡의 생생한 묘사는 대중의 관심을 끌었고 대공황당시 동안 많은 미국인들이 처한 절박한 상황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른 문학 작품으로는 리처드 라이트(Richard Wright)의 "Native Son"이 있습니다. 이 소설의 내용은 대공황 당시 시카고에서 가난하게 살고 있던 젊은 아프리카계 청년 Bigger Thomas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인종, 빈곤, 불평등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뉴딜 시대의 민권 문제에 대한 여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문학 작품 외에 학술 논문과 경제 이론도 대공황 기간 동안 정부 정책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은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John Maynard Keynes)로 그의 저서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은 뉴딜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케인즈는 경기 침체기에 정부 지출이 고용을 늘리고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아이디어는 대공황 기간 동안 수백만 명의 미국인에게 일자리와 경제적 구호를 제공한 민간 보존단(Civilian Conservation Corps) 및 공사진보국(Works Progress Administration)과 같은 정책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경제에 투영된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유파동과 OPEC의 부상 (0) 2023.03.12 브레튼우즈 협정과 국제통화기금 IMF (0) 2023.03.11 마셜플랜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재건 (0) 2023.03.10 진보와 회복의 뉴딜정책의 유산 (0) 2023.03.10 경제적 평등을 위한 계속되는 투쟁: 마르크스와 사회주의 운동의 교훈 (1) 2023.03.08 일본 산업화를 다룬 저서들 (0) 2023.03.06 일본 산업화 기적의 시작 - 교통,교육의 인프라 발전 (0) 2023.03.06 일본 산업화 기적의 시작 - 메이지유신 (0) 2023.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