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드러쉬 - 금 덩어리에서 실리콘칩으로경제에 투영된 역사 2023. 3. 5. 00:31
골드러시 기술 혁신의 중심 실리콘벨리의 토대가 되다.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는 현대 실리콘 밸리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골드러시 자체가 기술 산업 성장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기술혁신과 기업가 정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서부지역 폐허가 된 정착촌 - 사진 Unsplash 의 Michael & Diane Weidner 실리콘밸리의 성장에 기여한 주요 요인 중 하나는 골드러시 기간 동안 캘리포니아로 유입된 인구입니다. 이들 중 다수는 젊고 모험적이며 기꺼이 위험을 감수했으며 이러한 특성은 훗날 지역 기술 산업의 특징이 되었습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를 주요 상업 중심지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활발한 상업 활동으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주요 수요를 창출했습니다.
성장의 또 다른 요인은 교통 인프라가 발전한 것입니다. 골드러시는 도로, 철도 및 기타 인프라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러한 인프라는 현대 기술 산업의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특히, 19세기 후반 대륙횡단철도의 발달은 실리콘밸리와 미국의 다른 지역을 연결시켜 사람과 물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했고, 지역을 상업과 산업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일조했습니다.
골드러시가 실리콘밸리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은 아마도 혁신과 기업가 정신의 문화가 정착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골드러시는 위험을 무릅쓰고 혁신을 추구하는 개척 정신(The Frontier)이 현대 지역 기술 산업의 중심이 되는 토대가 되었습니다. 더불어 골드러시 기간 동안 캘리포니아에 등장한 다양하고 다문화적인 사회는 개방성과 포용성의 문화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이는 실리콘밸리 정신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습니다.
골드러시의 역사
황금의 발견
1848년 1월, 목수이자 제재소 운영자인 제임스 마샬(James Marshall)은 캘리포니아 주 콜로마에 있는 제재소 갱도에서 최초로 금을 발견했습니다. 금에 대한 소문은 빠르게 퍼졌고 1848년 5월에는 동부 해안에 까지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서부지역 골드러시의 시작을 예고하는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금이 발견 소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서부 캘리포니아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1848년에서 1855년 사이에 유럽, 호주,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약 30만 명의 사람들이 캘리포니아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샌프란시스코의 인구는 1848년 약 1,000명에서 1850년에는 25,000명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인구 유입으로 캘리포니아 전역의 마을과 도시가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채광 기술의 발전과 환경 문제
광부들은 땅에서 금을 채굴하기 위해 다양한 채광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가장 간단한 기술은 패닝(panning)으로 얕은 팬을 사용하여 강바닥을 걸러내어 작은 금 덩어리를 찾았습니다. 슬루이싱은 긴 나무통을 사용하여 흙과 자갈을 씻어서 금 입자가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는 작업을 반복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고압의 물 분사를 사용하여 토양과 자갈을 부수는 수압채광은 가장 효과적인 기술이었지만 환경에 가장 파괴적이었습니다. 대규모 인구 유입과 수력 채굴로 인해 광범위한 토양 침식, 삼림 벌채, 하천 오염으로 이어졌습니다. 수력 채굴로 인한 황폐화로 인해 1884년 캘리포니아에서 채굴을 금지하는 소이어 판결이 통과되었습니다.
경제, 문화, 사회적 영향
사람들의 급격한 유입은 은행, 운송, 제조업과 같은 새로운 산업의 창출로 이어져 샌프란시스코를 주요 상업 중심지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1852년까지 캘리포니아는 연간 8,100만 달러 상당의 금을 생산했으며 이는 당시 미국 총 경제 생산량의 약 5%에 해당하는 규모였습니다. 유럽, 호주 및 중국에서 온 이민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유입으로 캘리포니아를 다문화주의와 다양성의 상징으로 만드는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한 예로 멕시코, 스페인 및 아시아 요소가 혼합된 캘리포니아 요리 스타일과 같은 새로운 문화 현상이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엄청난 인구 유입되면서 파생된 사회질서의 혼란으로 법과 질서의 필요성 대두되었습니다. 골드러시 초기에는 시민들이 범죄와 무질서에 대처하기 위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경단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인구가 증가하고 마을과 도시가 발전하면서 공식적인 법 집행 기관이 설립되었습니다. 1850년에 주정부로 승인되었으며 주 정부는 법원 시스템과 법 집행 기관을 설립했습니다.
미국서부 확장의 기반이 된 교통
골드 러시는 서부와 동부지역을 연결하는 교통 인프라의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광산을 오가는 상품과 사람을 운송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도로, 교량 및 철도 건설을 포함한 운송 인프라가 급속히 확장되었고, 교통 인프라의 개발은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서부해안과 미국의 다른 지역과 연결하여 미국 서부의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골드러시를 주제로한 저서
"황금의 시대: 캘리포니아 골드러시와 새로운 아메리칸드림" 헨리 윌리엄 브랜드(H.W. Brands)와 앨리슨 라시어(Allison Lassieur)의 "골드러시 : 캘리포니아에서 금을 찾기 위한 1차 사료의 역사 (The Gold Rush: A Primary Source History of the Search for Gold in California)"는 캘리포니아 골드러시와 그것이 미국 서부 개발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저서입니다. 두 책 모두 같은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서로 다른 관점과 목표로 접근합니다.
H.W. 브랜드의 "황금의 시대 "는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의 그 원인 및 결과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책은 크게 두 파트로 나뉘는데, 첫 번째 파트에서는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발견되기까지의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두 번째 파트에서는 골드러시가 미국 문화와 정체성에 미친 영향을 다룹니다.
책의 서문에서 브랜드는 이후 전개될 사건의 무대를 설정합니다. 19세기 중반 미국 변두리의 외딴 지역이자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었던 캘리포니아의 상황을 설명하고 1848년 금의 발견이 어떻게 모든 것을 변화시켜 전 세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들고 캘리포니아를 주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는지 설명합니다. 책 전반에 걸쳐 골드 러시가 미국 문화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방식을 탐구합니다. 그는 서부에서 부와 모험을 추구하는 강인한 개인주의자의 이미지가 미국인 정신의 중심이 된 과정과 골드러시가 아메리칸드림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정립되었는지 설명합니다.
대조적으로, 앨리슨 러시아의 "The Gold Rush"는 주제에 대해 보다 역사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편지, 일기, 신문 기사 등 골드러시와 관련된 사건과 사람들을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주요 자료를 모아 놓은 것으로, 책 소개에서 일반적인 기록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골드러시에 대한 더 자세하고 미묘한 시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녀는 당시 살았던 사람들의 말을 읽음으로써 독자들이 골드러시 시대의 삶의 현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책의 주요 내용은 골드러시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기 위해 주제별로 정리된 주요 출처 문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의 발견, 광산 캠프에서의 생활, 골드 러시 동안 여성과 소수 민족의 경험에 대한 섹션으로 되어 있습니다.두 책 모두 현재 사회와 경제의 현재 상태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황금의 시대"는 기술이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미래를 전망합니다. 기술의 발전이 빈곤과 불평등과 같은 오늘날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골드 러시"는 기술의 잠재적 위험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면서 보다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합니다. 기술이 불평등을 증가시키고 사회적 이동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사회에서 기술의 역할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기술이 현대 사회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 영향은 앞으로도 계속 커질 것이라는 데는 동의하고 있습니다. 골드러시로 비롯된 기술, 사회, 경제 간의 복잡한 관계에 대해 다양한 측면을 탐구함으로써 현대 기술이 제시하는 도전과 기회에 대한 미묘한 이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제에 투영된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적 평등을 위한 계속되는 투쟁: 마르크스와 사회주의 운동의 교훈 (1) 2023.03.08 일본 산업화를 다룬 저서들 (0) 2023.03.06 일본 산업화 기적의 시작 - 교통,교육의 인프라 발전 (0) 2023.03.06 일본 산업화 기적의 시작 - 메이지유신 (0) 2023.03.05 삼각 무역의 어두운 역사 : 노예제도와 경제 제국 (0) 2023.03.04 곡물법과 자유무역을 위한 투쟁 (0) 2023.03.02 보호주의를 넘어서 - 중상주의의 역사와 유산 (0) 2023.03.01 마이다스의 손길 - 금본위제의 장점과 유산 (0) 2023.02.28